후훗후훗후후후
2025-04-10 16:17:12
300
이거 맞음 저런 기사 보고 논문 읽어보면 “쥐한테 5톤가량 먹여봤더니.. 항생제 내성 유발한 쥐에서 자주 나타나는 특정 효모의 전달물질의 전구체의 옆집사람의 전사인자의 사촌형의 즐겨마시는 커피 농도를 0.3프로만큼 감소 확인” ㅇㅈㄹ임
페이셜리002
2025-04-10 16:28:32
100
레알 한편의 논문에는 1. 우연에 의한 결과 2. 데이터 조작 3. 연구 방법론적 헛점 존재 등등의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논문이라고 그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되죠. 같은 주제를 조금씩 다르게 다룬 연구들이, 일관된 결과를 보여야 합니다.
바벨문학상
2025-04-10 20:06:33
30
연구 결과 라는게 죄다 a가 원인 b가 결과 라는 인과관계를 의미하는게 아님. 연구 목적으로 단순한 상관성을 목적으로 하는것도 있고 가능성 유추를 목적으로 하거나 기타 다양한 연구방법이 있는건데 잘 모르는 사람들이 연구결과=인과관계 이렇게 생각하고 해석하는게 잘못된거고 위험한거지 그래서 통계학은 과학자와 사기꾼이 쓴다는 말도있는거고
AmonaR
2025-04-10 16:23:33
0 0
연구팀은 사카린이 박테리아의 성장을 멈추고 DNA 복제를 방해하며, 박테리아가 항생제에 저항할 수 있게 하는 끈적끈적한 보호막(생물막)의 형성을 가로막는다는 사실을 이번에 발견했다. 또한 사카린이 들어있는 '하이드로겔 상처 드레싱'을 개발해냈다. 이 드레싱은 현재 병원에서 사용 중인 '은(실버) 기반 항균 드레싱'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스트1
베스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