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한량
2025-04-11 17:06:26
60
그것도 좋은 황제가 연속으로 5번은 이어져야 제대로 된 황제정이 나옴. 근데 트럼프를 그런 황제라 보기엔.. 아하!! 처음 황제 하려던 카이사르는 암살당하고 이후에 좋은 황제가 나타났으니 혹시 트럼프도? 근데 트럼프 암살은 이미 실패했잖아? 안될거야 미국은 ㅠㅠ
후훗후훗후후후
2025-04-11 08:49:26
70
저축 안한다고 쓴게 어려워서 못하는 것도 있겠지만 실제로 미국사람들 소비성향이 엄청 높아가지고 저축을 실제로 안하는 경향도 있다고 들어서 쓴건데. 뭐가 정확히 맞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통계상 미국인의 40프로가 1000달러도 통장에 없다는데 문제는 확실히 있는듯요
간까만사십줄
2025-04-12 08:35:04
00
미국은 의료보험은 최저임금 기준 이하의 근로자에게만 자동 가입 시켜줘서 일부러 파트타임 일하면서 의료보험 유지만 하는 근로자도 많다더라. 미국은 맹장수술 비용이 3만~5만 달라 정도. 병원가서 드레싱만해도 수십만원 내야되니 더 많이 벌 능력있어도 안 버는거.
형아는내맘조또몰라
2025-04-11 18:31:49
10
도구가 문제간, 쓰는 놈들이 문제지. 근데 칼로 사람 쑤시고 있으면 일단 칼부터 뺏어야 하는 게 맞지. 지금 자본주의는 분명히 잘못 쓰이고 있음. 칼을 쓰지 말자가 아니라 위험 방지책들을 엄격하고 명확하게 마련해야지. 근데 이 당연한 말이 힘의 논리 앞에서 씨알도 안 먹히니 이 지경
아재o
2025-04-12 17:19:34
20
griface //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수도 없이 많구요. 불평등, 양극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에 대해 한계점이 있다고 말합니다. 자본주의의 태동부터 수도 없이 논의된 일들이에요
슈퍼쿠자
2025-04-13 07:24:49
20
이왜반? 세계의 부 절반을 1%가 소유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온지는 오랜데 그게 진짜 전 사회나 전 지구적 빈부격차를 나타내는게 아니란걸 모두 잘 알잖아. 한국평균이나 최저생활 수준도 지구 전체로 보면 상위권인데, 그저 복지의 의미로 한국것도 나눠서 제 3세계에 공짜로 순환 시키는게 맞다고 생각해? 한국도 힘든데? 전형적인 통계의 숫자로 판단하는 오류야.
슈퍼쿠자
2025-04-13 07:32:04
20
대부분의 자산이 주식이거나 숫자로 표현된 찍어낸 돈이라서 실제 환금성을 생각하면 거품도 많고 순실물자산으로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표현할 뿐 인간이 먹고 쓰는 부분에서 부를 소유하는것은 한계가 있음. 또 문명의 발전으로 선진국 서민들은 간접적으로 보편적 부를 누리고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튼튼함. 우리 역사 속 나라들처럼 빈부격차로 망할 일은 없음.
야만의시대
2025-04-11 14:31:20
1 0
과거의 [빈부격차 - 혁명 - 빈부격차해소 ]순환이 이번에는 일어나질 않을 수 있을거같음. 노동의 종말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인데, 결국 혁명이라는 것은 노동계층의 뭉쳐있을 때의 힘이 기존 권력층을 압도했을 때 나옴. 프랑스 혁명도 그랬고,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도 그랬음. 근데 이제 러-우 전쟁이 그 시작을 보여줬는데, 더 이상 사람이 필요하지 않음. 필요성이 점점 더 줄어듦. 강력한 힘을 가진 통치자가 반대세력을 다 죽여버리면 나중에 생산은 누가 해주냐, 가 기존의 문제였다면 구것도 로봇으로 점점 더 해결됨. 더 높은 생산성 향상과 노동의 종말은 더욱더 노동계층의 힘을 앗아감. 이제 레볼루숑도 통하지 않을 시대가, 곧 온다.
탕탕소년단
2025-04-11 16:04:07
38 0
예견된 일임. 돈이 돈을 부르는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기 때문에 울나라도 이미 그렇게 되고 있음. 그래서 의료보험, 국민연금 등을 철저히 유지해야 되는 거고, 물,전기,철도,도로 등 사회 기간망의ㅡ민영화를 막아야함. 미국 꼴 나기 싫으면. 위로 위로 빨려가는 돈을 막기는 힘드니까 경제적 보호막이 잘 갖춰져야함. 임금이 적어도 살 수 있고 움직일 수 있고 치료 받을 수 있게
베스트1
베스트2
베스트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