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베스트2
달콤한남자이준철
2025-04-16 03:38:45
74 0
아마 청음한곳이 깨끗한 전기를 쓰는 수력 발전으로 나온 전기일 확률이 높음. 보통 비싼 케이블은 아무리 나쁜 전기라도 최상의 전기 컨디션으로 조정해주기 때문에 우리나라 같이 화강암으로 인해 항상 맑은 물이 흐르는 곳에서는 그 깊이를 느낄 수 없음. 차이를 제대로 느끼려면 석회수로 수력발전을 하는 유럽이나 더러운 공기로 풍력 발전을 하는 중국, 화석 연료로 화력 발전을 하는 아프리카 지방에서 청음을 했으면 그 차이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음. 내가 예전에 소말리아 해적으로 근무할때 확연하게 느꼈던거라서 증명된 사실임. 반박시 약탈함. [6] 이동
sd산들바람
2025-04-16 10:00:30
50
대부분 전기는 발전소에서 직접 받는게 아니라 변전소 거쳐서 전압, 전류 안정화 된 후에 각각 산업시설, 가정으로 공급 되는거 아님?? 그것도 중간 중간 변압기도 있는거고 우리나라가 후진국처럼 전기가 출렁 출렁 안거리는거 같은데 진짜 엣날에는 그런거 보긴 했지만 여기가 북한도 아니고
sd산들바람
2025-04-16 10:20:47
50
워워워 릴렉스 하고 화력발전소 가까워도 발전소에서 직접 연결해서 전기 주는게 아니라 발전소 - 변전소 - 변압기 - 가정 이렇게 들어가는거 아님?? 발전소, 송전선로, 변전소 이런곳 가까우면 전기료 감면 해택은 있긴 하지만 전기를 다이렉트로 주는건 못들어서 그리고 발전소에서 발전 할때 어차피 화력이든 원자력이든 물을 끓여서 증기터빈 돌리는거라 일정하게 나올거고
책사고싶다
2025-04-16 12:08:57
30
현상이 있다 해서 그 이유에 대한 추측이 진실이 될수는 없지. 그건 발전소 탓이 아닐 가능성이 큼. 차라리 동네 배전망에 문제가 있겠지. 발전소 발전기에서 나오는 선은 바로 154k나 345k로 승압해서 송전탑으로 간다. 동네 배전망으로 바로 물리는게 아니라고.. 배전망에 물려있을지도 모르는 신재생이 문제일 가능성이 더 크다는거임.
책사고싶다
2025-04-16 12:13:23
00
좀 쉽게 설명하자면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게 전기가 아니고 자동차라고 치면 걔네가 동네 도로를 조져놓고 지나가는게 아니라 다이렉트로 고속도로까지 올려버린다 이말임. 신재생은 그렇지 않을수도 있고 걔네가 생산량이 더 들쭉날쭉하니 문제가 있다면 걔네들일거다.
달콤한남자이준철
2025-04-16 03:38:45
74 0
아마 청음한곳이 깨끗한 전기를 쓰는 수력 발전으로 나온 전기일 확률이 높음. 보통 비싼 케이블은 아무리 나쁜 전기라도 최상의 전기 컨디션으로 조정해주기 때문에 우리나라 같이 화강암으로 인해 항상 맑은 물이 흐르는 곳에서는 그 깊이를 느낄 수 없음. 차이를 제대로 느끼려면 석회수로 수력발전을 하는 유럽이나 더러운 공기로 풍력 발전을 하는 중국, 화석 연료로 화력 발전을 하는 아프리카 지방에서 청음을 했으면 그 차이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음. 내가 예전에 소말리아 해적으로 근무할때 확연하게 느꼈던거라서 증명된 사실임. 반박시 약탈함.
키크신분
2025-04-16 13:34:11
0 0
전기, 자동제어 설계하는데 내가 보기엔 솔직히 저 케이블의 차이는 차폐 능력뿐이고 안에 들어 있는 구리선은 똑같을텐데 굳이... 차폐의 능력은 외부 영향을 줄이는 기능이라 애초에 외부 영향을 안받는 곳이면 의미 없음 ㅋㅋㅋㅋ 저런건 외부 영향이 많은 곳에선 차이가 나겠지~~
욤욤미욤
2025-04-16 19:28:28
0 0
케이블은 마지막에 바꾸는 기본 쓰나 안쓰나 큰 차이가 없지. 저 300만원짜리 케이블 쓰는 사람은 몇천 몇억짜리 시스템 갖고 있다 마지막에 케이블이겠지. 다이소 케이블이랑 비싼 케이블이랑 음질 차이가 있다 보기 보단 전기 공급은 원활하게 노이즈 업이 사용하려고 하는거고... 그러다보니 파워케이블도 두꺼운 애들, 순도 높은 애들 쓰는거고... 전력은 우리나라는 큰 해당 안되지만 해외는 전력이 불안하거나 노이즈 끼는 경우가 있어서 준력에 대해서 신경 쓴다고도 해. 케이블은 음질 향상보단 안정적인 전기 공급으로 이해하고 있엉
베스트1
베스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