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참깨
2025-04-16 08:06:25
170
지방은 인력부족이긴함. 사무직 인서울 구하기 힘듬. 내 지인들 마저도 서울 연봉 2배+원룸 안주면 굳이 지방가느니 연봉적어도 서울 중소기업 다닌다고 하는걸 뭐. 그렇다고 지방중소에서 서울연봉+월세 정도 말고 더 주기는 어렵고. 그냥 요즘은 대기업 은퇴자들 연봉 6~7천 주고 오시라고 하는게 회사도 신입뽑아 가르치는것보다 낫단걸 느끼고 갓졸업한 신입 어렵게 안구하려고 함..
우리집고양이는야옹이
2025-04-16 08:38:31
330
오히려 최저임금이 오르다보니 중간일자리의 매리트가 없어짐 막말로 10년 전까진 그래도 편돌이보단 중소공장에 취직하는게 급여적인 부분이나 기회적인 부분에서도 낫긴 했는데 이제 편돌이랑 지방 조쏘 공장이랑 급여가 사실상 비슷해지니 조쏘갈바에는 걍 알바하는게 낫다가 되어버림 일본 니트족 처럼 가는거지 중소기업은 구직자 경쟁을 동네 알바천국이랑 하고 있음
말랑참깨
2025-04-16 21:09:13
31
jojagga/ 몇십년 경력의 대기업 임원, 부장 출신 은퇴자가 연봉 6~7천에도 일하는데 대기업도 아니고 중소가 쌩신입 5천 주고 안쓰지. 애초에 신입들 그렇게 줄 정도면 최소 중견 이상이고. 은퇴했다 해도 요즘은 10년이상, 80까지도 일하려고 하는데 능력+인맥 출중한 은퇴자 연봉 2천 더 주고 뽑는게 5천 짜리 신입 2~3명 이상의 능력을 보이면서 경제적이니까. 노령인구 늘어나면서 점점 중견, 대기업 정년퇴직자들은 늘어날거고 은퇴 후에도 일을해야 하기에 앞으로 십여년간의 신입들은 최소 몇십년된 경력+인맥이 있는 재취자들과 싸워야할걸.
나트리샤
2025-04-16 23:25:13
40
중소기업 급여보고 사람들이 ㅈㅅ는 답없다고 이야가 히는데..틀린말임. 그 돈을 줄만한 직장이 맞아서 그 돈을 주는거....일에 걸맞지 않은 작은 급여가 아님. 그냥 일 자체가 경쟁력이 없어서 돈 많이줄 가치가 없어서 안주는거임. 양질의 일자리는 단순히 급여를 보면 의미없음. 실력과 스팩이 '필요'한 직장인가 아닌가가 핵심임. 한국어 잘하는 외국인 VS 한국어도 잘 못알아먹는 한국인이 경쟁하는곳이 최저임금의 세계야.
dragonash2
2025-04-16 14:01:08
40
우리회사만 봐도 사람 갈아넣고 꾸역꾸역 버티게하니 자리가 있을리가. 신입들어와도 일에치여서 교육은 커녕.. 옛날이랑 분위기가 많이 다름. 인턴이나 공채들 이름도헷갈림ㅋㅋ 취업시장이 저지경인데 뒤질거같아도 붙어있어야 하나 싶고
상상과삶
2025-04-16 06:57:46
18 0
외국인 취업 제한해야하는 거 맞다고 생각함. 왜냐면 최소한의 행정처리를 할 한국인 1~2명, 그 외는 외국인으로 대처해버리니까 근로 여건은 최악으로 두는 곳이 생각보다 많음. 외국인들도 우리나라 오면서 출입국관리소에서 만나는 자국민들끼리 번호 교환하거나 하면서 자기들끼리 정보 공유하거든? 대우 최악인 곳은 알아서 런함. 그러면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기 위해 또 외국인을 자국에서 데려와 취업시킴. 결국 비뀌는 건 아무것도 없고 멋모르는 외국인들만 죽어라 고생하다 런하는 그런 곳도 그럭저럭 굴러가더라고. 전혀 생각지도 않았고 알지도 못헸던 세상이더라..
작은 소기업 운영하는데 작년에 다 내보냈음.. 퇴직금을 한번에 다 못줘.. 사정 얘기하고 작년말에 간신히 다 줬음.. 이것도 용하다 싶은게 주변에 망한 기업이 너무 많은데 어찌저찌 버팀..사업자 연체율 최고가 괜히 나오는게 아니야.. 뽑고싶어도 이미 망했어. 아님 창업을 선택해서 망했거나..
섰다베이비
2025-04-16 13:36:09
330
폭싹 속았수다. 대부분 구직자들이라 하는 일에 비해 월급이 적다 글들밖에 없는데 솔직히 월급만치 일하는 애들 별로 없음. 한 10명 뽑아놓으면 3명은 폐급이고 5명은 이익은 못 뽑는 수준이고 본전만 나오고 2명이 나머지 8명치분 캐리해서 끌고 감. 초기 스타트 멤버를 엘리트로 구성해놔도 좀 되서 사업체 커지기 시작하면 어떤 사업을 해도 이 루트 따라간다. 끌고가는 애들 더 챙겨줘도 나머지 8명분의 월급이 있으니 2배 3배 더 주지도 못함. 근데 나머지 8명은 그래 본전하는 5명은 내가 걍 일자리 만들어주고 본인이 본인밥 해먹는거니 재능기부했다 치는데 폐급 3명은 짜르기도 힘들고 그냥 처치곤란임.
섰다베이비
2025-04-16 13:40:16
152
일관되게 이야기하지만 대한민국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이 지경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고용유연화를 시키면 능력없는 애들은 알아서 더 적게 받고 적은 능력을 필요하는 일자리로 이동하게 되고 상술된 고려대(고려대라고 다 이들보다 잘났다고 말하는게 아님을 밝힘) 애들이 자리자리 찾아 취업할 거고 결과적으로 국가전체 gdp가 향상되는 싸이클로 가야지. 무조건 최저임금제와 고용보장 등으로 하방경직성 이빠이 공구리 쳐놓고 그냥 딸깍만하는 초단순하고 하부구조적인 직능과 이보다 좀 더 고차원적인 기술이 필요한 직능을 같은 선상으로 라인을 그어버리니 능력있는 사람들이 일하고 싶어도 안 하거나 그냥 염증을 느껴서 일을 안해버리지
섰다베이비
2025-04-16 13:45:48
200
그리고 사람들은 다 자기고양 바이어스가 있어서 '나는 평균 이상은 친다' 라고 누구나 생각함 ㅋㅋㅋ 다들 말하는거보면 회사는 자기가 캐리하고 자기는 폐급 똥치우고 자기 능력에 비해 월급이 적고 이런 글들 밖에 없는데 그거 다 레이크 위비건 효과임. 한국에서 좀 치는 애들은 요새 하도 인재가 없는 탓에 A급이 아니라 B+급 이상만 되도 요새는 죄다 해외에서 플레이어로 뛰고 있는 경우들이 많아서 한국이 이제 기술력으로 뭐 어케할거란 희망조차 안생김. 해외로 플랜트와 연구소 다 돌리는 현대차 같은 기업들이 승승장구하는게 이런 이유라고 봄
슈퍼쿠자
2025-04-16 15:27:03
240
나도 좆소사장인데 직원 임금도 낭낭히 주고, 워라밸 챙겨주려고 왠만한 기업들 하는 복지 챙겨주고 정시퇴근하게 끔 스케줄 짜고, 탄력근무제랑 휴일도 넉넉하게 주고 뽑으면 처음엔 좋다고 열심히하다가 나중엔 다른 분야에서 대기업급 복지를 바람. 그러다가 연봉만 보고 이직했다가 워라밸 망치고 연차쓰기도 눈치보여서 후회한다는 소리들려오면 꿀잼...퇴직금도 자기들방식으로 계산해서 다시 쇼부보려고하고.. 노동부 찾고ㅠ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더라..계약된 업무 외로 혜택본거 다 계산해서 뱉어내라고 하니까 그제야 잠잠해짐.. 그 후로 최저 주고 정시출퇴근만 챙겨주고 가끔 선심쓰듯이 복지신경써주는데 직원들도 전보다 더 오래근무하도 회사도 더 잘 굴러감... 아이러니...
말랑참깨
2025-04-16 18:21:29
120
슈퍼쿠자/ 우리도 소기업운영한지 이십여년됐는데, 해주면 해줄수록 더더더 바라고 불만만 많아져서 진짜 나중가선 사라지게 되더라... 오히려 직원들한테 어떠한 복지를 하자고하면 요즘은 임원급이나 초기멤버들이 오히려 복잡해지게 만드는 직원들 꼭 생기니 하지말라고 함ㅋㅋㅋㅋㅋ........
elelel
2025-04-16 21:05:39
10
섰다베이비 / 의외로 그런 노동직군들도 사람이 중요해요. 업종에 따른 차이가 있긴 하지만 경력이나 자격 기술을 요하는 경우도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입구턱이 낮을수록 별의별 사람들이 다 굴러들어오다보니 그게 노동자가 됐든 관리직이 됐든 트롤러 몇명때문에 제대로 일하는 평범한 나머지 사람들이나 팀원들이 고통받기도 해서요. 그런 직군들도 그래서 일하는 건 둘째치고 인성이 괜찮고 서로 협력할수 인력들이 좋습니다ㅜㅜ 안 그러면 허구헌날 시끄러우니까요.
마도쟝
2025-04-16 08:38:36
24 0
기존의 악덕업체들이나 좀 정리해주고 환기좀 했으면 중소라도 많이 가지 가고싶어서 가겠나 먹고 살려고 가지 월급보다 더 많이 부려먹고 대가는 제대로 안주는데 누가 가고 싶겠나 오죽하면 나라 망해야 한다는 소리가 나오겠나 싶음
본드맛
2025-04-16 09:18:27
3 0
사실 취업은 고용이 잘 이뤄지게 하려면 해고도 잘 이뤄지게하면됨, 그래서 해결책으로는 정규직 비정규직을 없에면 하나의 해결책인데, 우리나라 노동법은 한번고용하면 평생 먹여 살려라는 식의 법이 되어있어서 취업시장 문이 좁은거임
꼬닥이
2025-04-16 09:23:59
43 1
지금 취준시장을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해주자면 ㅈ박앗다던 작년 하반기의 1/4 꼴임. 눈낮춰라 ㅇㅈㄹ 하는데 본인들 전공 살릴 수 잇는 조금의 가능성만 잇으면 다넣고 있고 다떨어지는거임 ㅇㅇ 서성한이 중견 턱걸이 기업 겨우 붙고잇는데 현실이고 ‘중소’ 도 경쟁률 100:1 정도임. 취업 상담 다녀온 사람들 말론 그냥 상반기 버리라는 분위기더라
돈두르마
2025-04-16 20:30:19
21
이상론주의자의 말 잘 들었음 그렇게 극단적으로 말해서 착취지 요즘같은 시대에는 착취아닌 착취가 되고 있는데 무슨 소리하는거임 그 이론 다 알고 있음..대기업도 가격만 저렴하면 일하기 편한 국내에서 물건 만들어서 소비자한테 내놓고 싶지 왜 그게 안되겠음? 근데 국내 공장에 맡겨서 물건을 출시하면 소비자들이 앵간히 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 중국, 인도, 동남아의 값싼 제품을 선택하는건 당연한 일이고 한국은 물건 하나하나씩 뒤쳐질 수 밖에 없음. 대기업입장에서 한국업체에 일을 맡기고 싶지만 원가를 어떻게든 내려야 그런게 가능하니까 우선 해외는 이 가격인데 한국기업 사장 너는 얼마? 라고 했을때 사장입장에서는 울며겨자먹기로 하는거지 이게 기업에서 중간에 빼먹기 위해 후려친다고 생각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음
돈두르마
2025-04-16 20:37:26
00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임금을 현실화하는것은 다 돈이 들어가는 것이고 그 돈이 천문학적으로 늘고 있음. 요즘 같은 시기엔 그런 투자할 돈으로 다른걸하지 미쳤다고 한국에서 사업하냐는 소리를 하는 시대임..인건비는 가파르게 오르고 해외에선 한국기업 유치하려고 산업용전기를 싸게 공급하고 세제혜택도 주고 얼마나 열심인데 한국은 한전의 적자를 국민만 희생한다 산업용은 왜이리 싸냐 라고 하면서 전기도 오르니 유지비도 점점 늘어나고..도저히 사업할 수 있는 환경을 안만들어주는 대외 불확실성이 증가하니 기업들이 불안해서 이익잉여금을 쟁여놓는거지
돈두르마
2025-04-16 20:41:26
20
당장에 5월2일에 놀자 분위기로 몰아가는 언론이나 국민들..6월3일 대선이 생기니까 또 놀고 싶어하는 사람들..경제는 이런데 임시공휴일을 주면 정부는 그 공휴일에 대한 인건비 보존은 하나도 안해주고 그냥 고시해버리면 끝. 기업입장에서는 일도 못시키는데 빨간날 유급휴가까지 챙겨줘야 불법이 아닌게 우리나라임..임금의 현실화? 한국의 현실을 직시해야함 사람들이 노는것과 공짜로 받는것에 타성에 젖어 제 일도 제대로 안하면서 받기만 바라고 있음..한은총재가 말했지 이게 현재 우리 수준이라고
돈두르마
2025-04-16 20:48:49
20
그럼 더 뛰어난 물건을 만들어서 내면 되지 않냐 하겠지만 이미 공산품 전반적으로 생산하는 기계설비 자체에 대한 기술은 중국이 세계 2,3위권을 하고 있음. 즉 좋은 물건을 생산하는 기기 자체도 국내에서 만들어지는게 거의 없는 상황에서 한국 중소기업들은 설비 투자여력은 점점 떨어지고 중국 인도는 더 좋은 설비를 가동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만드는 비율이 점점 늘고 있음. 그나마 노동자의 도덕적 인식이나 성실도 때문에 커버를 하고 있지만 산업 전반적으로 죄다 해외 공장들한테 다 밀리고 있음..한국의 중소기업들 중 제조를 하는 회사들보다 판매를 위한 디자인, 유통회사들이 점점커가고 있고 1차 산업 기반 자체가 잠식되고 있음..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선진국이니까 임금의 현실화? 도대체 얼마나 인건비를 올려서 한국 제조업을 박살내려고 하는거임?
돈두르마
2025-04-16 20:58:01
30
자 요즘같은 시기에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제대로된 공장하나 만드는데 100억은 우습게 들어감...건설비가 증가하고 환경위한 설비,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설비 덕분이지..일반 개인 사업자가 100억을 쥐고 망할지도 모르는 제조업이나 1차 산업을 하는게 좋을까? 아니면 그냥 그 돈을 굴리거나 건물주가 되는게 좋을까? 옛날처럼 저렴한 자본으로 제조업내지 1차산업을 할 수 있는 시대는 이미 끝났음 현재 이익잉여금을 쟁여놓고 있는 기업들 또한 국내 1차 및 제조업 산업군에 납품을 의뢰한다기보다 전부 해외공장에서 찾아 유통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아니면 본인들 브랜드를 가지고 있고 몇백억쯤은 쉽게 돌리는 회사들이겠지..원가절감해서 수출제품은 더 싸게 내수는 더 비싸게?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감..그리고 그 돈들인 사람이 한달에 1~2천 벌려고 사업벌이겠음? 그래서 많이 벌어서 먹으려고 하면 주변에서는 다 뜯어먹으려고 안달난 하이에나들이 득실거리는게 한국임..조금 뭐 된다 하면 비슷하게 만들어서 브랜드이미지나 가치를 절하시키는 경우가 많고 이제는 중국업체들 또한 그러고 있는 판국임..
전마머꼬
2025-04-16 11:02:24
10 0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이 올려놓은 임금 때문에, 여러 대기업들 임금이 같이 올랐음... 경쟁력은 그대로인데, 오히려 후퇴중인데, 임금이 올라서. 구조조정 없이는 그냥 일반 사기업들도 KBS화처럼 대두로 남게되어 있음. 신규가 들어갈 자리도 얼마없고 들어가도 과도한 업무에 노출될 것...
sabab
2025-04-16 11:19:21
15 0
내가 2016년에 샵장에서 새끼용접사로 들어갔을때 받았던월급이 230임 근데 물가가 거진 배로 뛰어버린 지금도 지방사무직기준 220이면 지원자가 줄을 섬 물론 용접사와 단순사무직의 급여를 비교한다는게 아이러니긴하지만 신입들 초봉이 10년이 지난 지금도 2500~2700 이러고있으니 시팔 중간에 어떤놈들이 다 마진떼막고 좋소 직장인들은 벼룩의간만 가져가는건지
반달곰발바닥
2025-04-16 11:28:44
20
정확히는 모르지만, 대학원 TO는 전 단과대 통합으로 운영하는걸로 알고 있음. 인문계 대학원 진학율이 저조해서 남은 TO를 공대나 자연대 같은 진학율 높은 단과대가 받아 쓰는데, 코로나때 취업 불황으로 인문계 대학원 진학율이 높아지면서 공대 대학원 TO가 그만큼 줄어들었고 또 경쟁률 터졌다던 기억이 있음. (당시 대학원 진학한 친구가 겪은 일이라 팩트체크는 안해봄 ㅎㅎ!) 현재는 유학길 막힘 이슈까지 더해서 교수들이 석박통합, 박사 과정 아니면 석사 지원자는 눈길도 안줄수도...
요낭
2025-04-16 12:10:59
3 0
소위 말하는 ㅈ소는 여전히 구인난 중. 근데 지금처럼 일자리 부족이 길어지면 결국 그 ㅈ소의 ㅈ같은 기준에 맞춰 일자리 구해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겠지. 그럼 결국 그 ㅈ소들은 노동환경과 임금구조 개편하지 않아도 될테고..
KINOPIO
2025-04-16 14:30:50
51
퇴사율은 1년에 5명남짓함. 이직이 잦은 보직들이 있어서 그쪽을 빼고는 거의 퇴사율이 없는수준. 나름 동종업계에선 대우가 괜찮다 생각하는데 신입면접보고 합격시켜도 안옴. 생각하는 연봉수준이 아니라고. 얼마를 생각하냐고 물어보면 자기 주변에는 초봉 5천부터 시작한다는데 못해도 4500은 생각했다함. 취업자리가 없는게 아니고 희망연봉에 맞는 자리가 없을뿐이지..
닉넴변경권좀요
2025-04-16 15:33:50
2 0
근데 고려대가 저러니 다른곳은 안봐도 뻔하다는 식의 해석이 맞는거임? 왜냐면 고려대쯤이면 눈이 높아서 최상위 직장만 원할테니 애초에 선택지가 많지 않아서 더 문이 좁을테고 중하위 대학들은 상대적으로 눈이 낮으니 선택지는 많아서 오히려 갈곳은 더 많을거잖아? 중소기업은 돈이 짜다 같은 문제는 제쳐두고
야만의시대
2025-04-16 16:53:37
2 0
결국 양질의 일자리가 안 나와서 발생하는 문제. 지금의 40-50대가 좋은 직장을 창업하고 성공해야만 지금의 저런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거임. 이제 지금 저 20대가 30대 안에 창업을 성공하면 그 다음 세대의 일자리를 주는거고. 지방에 있는 기업들이 왜 돈을 제대로 안 주겠냐. 이미 영업이익이 2% 이꼴나있으니 직원들 연봉 인상이 힘든거지. 저기 영업이익 90%씩 나는 두나무 같은 곳에서 직원들 연봉을 아끼겠음? 기업 탄압은 결국 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 물론 경영인의 도덕적 해이도 지적해야되지만 지금의 저런 꼴은 한 경영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문제라는 거지.
터닝스타
2025-04-16 18:43:18
20
물론 직위는 있는데 그냥 진짜 일적인 상하관계만 있고 다녔던 중소기업처럼 지 술쳐먹는데 담배심부름 뭐 안주 심부름 뒷정리 이딴거 시키지도 않고 칼퇴근이 당연한거고 업무체계도 제대로 되있음... 이러니까 중소기업 안가려하지...
보고잇나개객끼
2025-04-16 23:12:08
5 2
최저임금이 필요이상으로 높음...편의점 알바랑 중소기업 취직이랑 임금이 똑같은데 누가 취직해 걍 알바만 하고말지... 연봉 2400주는 중소기업은 반성해야되는데 초봉 3500짜다고 안들어가는 사람은 본인이 상위 10퍼 안에 드는지 냉정하게 고민해봤으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