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베스트3
펭귄샴페인잔
2025-04-21 16:53:24
298 0
프로게이머의 벽은 엄청 높다고 들음. 프로게이머가 있을정도로 메이저한 게임에 재능이 있어야하고 중고등학교때 두각을 보여야 한다는데 어린나이에 짧은기간안에 랭커가 되어야 한다는점과 학교를 다니는만큼 시간적 제한이 많이 생기고 장비영향이 크니 부모의 지원도 필요함. 게다가 선수수명도 짧고. [15] 이동
고양이가우걱
2025-04-21 18:12:59
160
아들! 엄마아빠 없어졌으면 좋겠어??? 왜 자꾸 저런 소리가 나오게 해?! 아들! 손가락 멀쩡하게 낳아줬는데 왜 클릭을 그따구로해? 어디다 찍는거야? 스킬을 그 타이밍에 날리는 이유가 뭔데? 설명을 해봐. 무슨 생각을 하면서 게임을 하는거야? 저번에도 그러더니... 실수도 실력이야. 아들.. 핑계대지 말고.. 집중을 해야지 집중을... 이 정도면 6살 먹은 옆집 철수한테도 지겠네..... 윗집 영수형은.... 아니다 말을 말자. 에휴 누굴 닮아서 무빙이 안되는지....
펭귄샴페인잔
2025-04-21 16:53:24
298 0
프로게이머의 벽은 엄청 높다고 들음. 프로게이머가 있을정도로 메이저한 게임에 재능이 있어야하고 중고등학교때 두각을 보여야 한다는데 어린나이에 짧은기간안에 랭커가 되어야 한다는점과 학교를 다니는만큼 시간적 제한이 많이 생기고 장비영향이 크니 부모의 지원도 필요함. 게다가 선수수명도 짧고.
프루나구조대
2025-04-21 18:32:46
250
운동도 그렇고 관중으로 돈버는 프로라는 직업이면 우선 학교다닐때 학교랑 동네에서 같은거 하는 부모들이 내 이름 알아야되고 최소한 지역구 내에서 제일 잘하는 사람 중 하나라는 말은 들어야됨. 그정도 되고 성인까지 유지할정도로 관리하면 비로소 프로가 될 수준 정도가 됨.
무기파는상인
2025-04-21 18:37:56
53
Faker Sense Wal, he said that you need to take a challenger in middle school to try a professional challenge. It's not possible to shoot a grandmaster when I was in high school.
에휴그게말이되냐
2025-04-21 18:53:25
210
고티어 가서 2군 3군 선수가 게임 찢어발기는거 보고 느끼면 프로가 절대 쉬울 수 없다는걸 알수있음 그런 2,3군에서 1군으로 넘어가는 선수 끽해야 한둘 1군 가서도 개욕쳐먹고 몸값 안오르는 선수가 거의 절반이 넘지...
나섯스왕귀
2025-04-21 21:39:58
110
어지간한 국대보다 컷이 높음. 중학생 때 이미 시에서 톱 먹을 정도 실력(서울이라면 최소 구)을 갖춰야 연습생이라도 시작할 수 있고 또 거기서 톱을 찍은 몇십명이 2군을 가고 거기서 톱을 찍은 몇명이 1군 프로로 데뷔하는 거임. 게임인구 저변을 생각하면 정말 말도 안되는 재능이 있어야 가능
간까만사십줄
2025-04-21 22:42:01
110
스타 프로게이머 막 생기던 시점 고딩때 친구들이랑 1대3해도 쳐바를 정도로 압도적 실력 가진 놈이 자퇴하고 1년간 준비했는데 다음해에 복학함. 여차저차 자퇴 4개월만에 입단 테스트까진 아니고 프로팀 소속된 연습생 몇명이랑 몇번 붙어봤는데 처참하게 발렸다고. 그 후로 더 빡시게 연습하는데 실력이 더 안좋아지는 슬럼프 극복 못 했다함.
인생은짧으니
2025-04-22 00:10:05
40
프로리그 있는 종목도 비슷할거야. 동네에서 탑찍고 잘나가는데 구, 시, 도, 전국 레벨에 같은 애들이 다 있다는거. 어렸을 때부터 전국구에서 좀 친다고 이름 날려야 프로 도전 해볼 수 있다는거. 프로야구 벤치에서 가끔 대타나 대주자로 나오는 선수들도 고교때까지 4번타자+에이스 투수 다 하던 ㅋ
Transvaal
2025-04-21 20:22:31
30
친구 2명이 도타2 프로게이머 였는데 2군 이였음. 나도 4000 이상은 나오는데 걔네랑 미드 1:1 쉐핀빵 진짜 한대도 못치고 떡발림. 근데 걔네도 대회 나가서 1군이랑 붙으니까 경기력 차이가 진짜 압도적으로 남.
프로될려면 매일 엄청 시간 갈아 넣어야하고 단순히 게임만 하는게 아니라 기본기 연습(fps면 에임 롤같은겜이면 cs 수급및 사거리 계산) 이랑 자신이 했던 영상들 돌려보면서 부족했던 부분 분석하고 고치고 해야할텐데 이렇게 한달만 하면 전부 나가 떨어질듯 어차피 프로되면 매일 해야하는거라 이런방법이 마음에 들면 천직이겠지만
대화명짖기귀찮어
2025-04-21 19:35:35
11 0
200명 안되는 챔피언들과 아이템의 모든 패시브 스킬 쿨타임 전부 외우고 상호간의 조합 상성도 생각 해야하는데 이게 패치 때마다 바뀜 이걸 기본 바탕으로 라인전부터 최종한타까지 무수한 과정들이 있는데 이걸 컨트롤 하나로 상성 조합 다 찢어버리는 괴물들이 프로 ㅋ
승리의실버팽
2025-04-22 15:12:52
0 0
원래 예체능 분야는 어지간한 재능 없으면 아예 엄두도 안내는게 좋지... 어설픈 재능갖고 프로의 세계에 뛰어들면 그냥 평생 변죽만 울리다가 결국 이도저도 아닌 반푼이가 되는거야... 근데 공부는 그냥 저냥 큰 재능 없어도 어느정도까지는 이룰 수 있고 그걸로 최소한 지 밥벌이는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니까...자기가 별 재능 없다 싶으면 일단 공부나 열심히 해보는거야! 어찌보면 공부가 세상에서 젤 쉬운거라는 말이 맞지. 최고가 되지 못해도 공부로는 먹고 살길이 되게 많거든~
베스트1
베스트2
베스트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