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베스트2
삼모작
2025-04-23 12:56:17
105 2
국가의 힘은 기본체급에서 나오는거라고 생각하고 이 체급은 인구-사람이라고 본다. 중국이 만일 호주처럼 인구가 적었다면 이렇게 급성장할수는 없었을걸. 인구가 많아야지 그안해서 특출난 인재도 나오는거고. [7] 이동
답글 베스트3
댓글달러옴
2025-04-24 10:59:27
63 2
우린 1인당 gdp만 봐도 되지 않을까 싶음. 통일이라도 되지 않는한 타고난 체급이 작잖아. 경제부국 보다 그냥 살기 좋은 나라가 됐으면 함. 물론 인구 붕괴는 그게 안 된되고 있다는 증거겠지만 [4] 이동
친구팔아강남
2025-04-24 16:53:59
100
근데 그것도 지정학적 위치가 안정된 상태에서 가능한거지 주변국이 러시아 중국 언제 뒤통수 칠지 모르는 일본이 있는한 최대한 쎄져야 함... 비유하자면 귀여운 골든햄스터가 되야하는게 아니라 가시 엄청 뾰족한 고슴도치가 되어야 하는 숙명... 어쩔 수 없음ㅠ 이렇게 안되면 국가자체가 집어먹히기 쉬운 위치인 문명 하드모드에서 도시 국가는 생존이 걸린 일인걸
방사능맛있다
2025-04-24 11:30:47
12 0
인구빨 중요하지. 그런데 이 좁은 나라에 5천만은 너무 많다는 이야기도 어느정도 동의해. 당장 북유럽만해도 오백만, 천만 인구인데 잘 돌아가잖아. 진짜 문제는 인구의 감소가 아니라 연령비가 어떻게 되느냐라고 생각해. 30년 후에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60~ 70퍼가 되고 20세 이하가 10%되는 세상이 확정적으로 온다는게 제일 치명적인거 같아.
요낭
2025-04-24 14:08:49
4 2
우리나라가 아직은 국가 = 개인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서 국가의 부가 확대되는걸 엄청 중요시 생각함. 어떤 인구학자는 인구감소로 한국의 gdp 떨어지고 세계적인 순위권에서 많이 내려가겠지만 막상 한국인 개개인의 소득수준은 계속 올라갈꺼고, 인구 과밀화로 겪던 구직난, 교통체증, 주차문제 등등이 많이 사라져서 삶의 질 또한 쾌적해질거라 말함. 난 개인적으로 이걸 '존재감없는 선진국화 ' 라고 생각함. 국제사회안에서 영향력은 줄어들지만, 개인의 삶은 더 나아진 국가.
베스트1
베스트2
베스트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