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 베스트2
고수맛사탕
2019-12-08 09:51:48
151 0
틀린 말 아니긴 함.. 요즘 잘나가고 가치있는 기업들은 전부 과학 공학기술 기반이기 때문에..그런거 하나도 모르는 사람들의 인적 가치는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음. 더군다나 인공지능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타이밍이라 공대생들도 벌벌 떠는 마당에..문과는 얼마나 무섭겠음 [3] 이동
고수맛사탕
2019-12-08 09:51:48
151 0
틀린 말 아니긴 함.. 요즘 잘나가고 가치있는 기업들은 전부 과학 공학기술 기반이기 때문에..그런거 하나도 모르는 사람들의 인적 가치는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음. 더군다나 인공지능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는 타이밍이라 공대생들도 벌벌 떠는 마당에..문과는 얼마나 무섭겠음
고수맛사탕
2019-12-08 09:54:58
300
괜히 컨설팅 회사들도 공대 자연대 석박사들을 채용하는 게 아님..아는 형님의 형수님도 생물과 박사나와서 컨솔팅회사 취직하고 시카고에서 연봉 2억 받으면서 살고있음. 그 자리가 원래는 경영 경제학과 애들의 자리였겠지. 게다가 요즘 재료과학 학회에서마저도 머신러닝 뉴럴네트워크가 침투했던데. 공대 박사과정인 나도 그거 보고 무서웠는데 쟤들은 오죽하겠냐고
존나야한새끼
2019-12-08 09:53:09
6 0
저게 맞는게 설대 경영이면 어디든가겠지가 아니라 누가 설대 경영갔는데 아무대나감 ㅋㅋㅋㅋ 그래서 e비지니스 개념으로 프로그래밍을 같이 배우는거임 실제로 프로그래밍하는 경영학도에대한 수요가 있기도 한 편이고 그리고 우리가 아는 대기업들 대부분의 문과들은 스카이 서성한 발에치이는것도 사실!
자취의요정
2019-12-08 09:56:46
0 0
대체할 수 있는 분야가 좀 그래서 영업이나 공학이 유리한게 영업은 클라이언트를 들고 이직하거나 노하우가 쌓이고 공학은 신입으로 대처 불가 신입 3명 쓰는게 경력자 2명 쓰는거보다 효율적인 분야에서는 자연스럽게 고민하게 되는듯